NetWork : 허브 리피터 브리지 스위치 라우터
2021. 1. 17. 19:30
컴퓨터 과학 저장소/NetWork
◈ 허브(물리 계층)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어, 여러 장비(PC 등)을 LAN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. 또한 리피터의 기능인 신호 증폭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. ◈ 리피터(물리 계층) 노드 간의 흐르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장비이다. (단순히 신호 증폭만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능은 아예 없다.) ◈ 브리지(데이터링크 계층) 허브처럼 여러 장비들을 연결시키고, 신호 증폭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. 하지만 허브의 기능과 달리 추가적으로 이더넷의 MAC Address를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 포트를 결정 할 수 있다. (허브의 단점 보완) ◈ 스위치(데이터링크 계층) 브리지와 기능이 같지만 다른점과 보완한 점이 있다. => 패킷 처리에 있어서 브리지 보다 훨씬 빠름 => 포트 수가 브리지보다 많다...
DB : ETL이란?
2021. 1. 16. 20:51
컴퓨터 과학 저장소/D.B
ETL 이란? E : 추출(Extract), T: 변환(Transform), L : 적재(Load) ▣ E : 추출 추출은, SQL에서 SELECT를 통해 데이터를 뽑아오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다. ETL의 예시로 내 갤러리에 있는 임의의 사진에 대한 이름을 들어보겠다. SELECT 2020-02-12-19-23-48-%.jpg FROM MY_GALLAY 위와 같은 쿼리문을 입력하듯 SELECT를 통해 특정 값을 추출하는 것이다. 위 예시는 이해를 위해 가져온 것이므로, 실제로는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추출한 것이라고 가정하자 ▣ T : 변환 변환은, 데이터를 추출한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이를 가공하기 위해 데이터포맷 등을 변환한다. 요구하는 데이터포맷이 YYYY-MM-DD이면, 이 형식에 맞게 ..

운영체제 공룡책 (Operating-System Concept) 1장
2021. 1. 10. 11:16
컴퓨터 과학 저장소/OS
1.1 운영체제가 할 일 -> 운영체제는 다른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. -> 운영체제는 다양한 사용자를 위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간의 하드웨어 사용을 제어하고, 조정한다. [*] 사용자 관점 한 사용자가 자원을 독점하여 사용 (PC, 모니터, 마우스, 키보드 등 기기들을 함께 사용)하므로, 목표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최대화하는 것이다. - 사용의 용이성 [*] 시스템 관점 "자원 할당자" 로써, 여러 가지 자원들(CPU 시간, 메모리 공간, 저장장치 공간, 입출력 장치 등) 이들을 관리자로써 어느 요청에 자원을 할당할지 결정 [*] 입출력-사용자 관점 운영체제는 제어프로그램이다. 컴퓨터의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, 입출력 장치의 제어와 작동에 관여한다. [!] 운..